JuJu(INTJ) 2023. 2. 11. 12:41

채권의 수익률

 

예) 채권의 수익률  : 1억 + 10년 만기 + 5%액면가

500만원 + 500만원 + 500만원 ……. 500만원+1억

 

금리가 5%일 경우 

1년차 500만원/0.05원 -> 2년차 500만원/(0.05)^2원….

 

금리가 10%로 올랐을 경우 

1년차 500만원/0.1원 -> 2년차 500만원/(0.1)^2원….

 

금리가 오른다 -> 채권의 가치가 떨어진다. -> 채권이 싸진다. 

금리가 내린다 -> 채권의 가치가 오른다. -> 채권이 비싸진다.

 

금리를 올린다 -> 돈을 쪼아서 모은다 -> 인플레이션 잡힘

경기침체 -> 기준 금리를 내린다.-> 채권의 가치가 오른다.

============================================

장기채와 단기채의 차이

 

위 예시를 들어 

 

10년채와 5년채를 비교했을 때

5년채 : 0.05 -> (0.05)^2 -> (0.05)^3 -> …..(0.05)^5.  = 금리 5% 기준

    0.02 -> (0.02)^2 -> (0.02)^3 -> …..(0.02)^5)  = 금리 2%로 인하 되었을 때

10년채 : 0.05 -> (0.05)^2 -> (0.05)^3 -> …..(0.05)^10 = 금리 5% 기준

             0.02 -> (0.02)^2 -> (0.02)^3 -> …..(0.02)^10)  = 금리 2%로 인하 되었을 때

 

장기채의 분모 감소폭이 크다 -> 장기채는 금리 인하시 변동폭이 크다.

즉 금리 5% -> 2%로 내렸을 경우 채권의 가치가 올라가고 장기채의  분모 감소폭이 크기 때문에 수익률이 더 크다.

=============================================

TMF -> 3X 레버리지 상품 -> 수익 변동성이 더 큼(3배 더 잘녹고 3배 더 잘불어남)

=============================================

***미국채***

미국은 망하지 않는다.

돈을 찍어내는 국가이다.

안정적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