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 CHAR와 VARCHAR의 차이점
2022. 5. 10. 19:19ㆍ기타공부
CHAR : 고정형 문자열
VARCHAR : 가변형 문자열
1. VARCHAR는 가변형 문자열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길이에 따라서 길이가 가변적으로 정해진다.
2. CHAR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CHAR(20)이라고 가정하면
2byte의 데이터를 넣어도 20byte의 길이를 잡아먹는다.
3. 하지만 VARCHAR(20)에 2byte의 데이터를 넣었다고 가정하면 데이터 길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공간을 지정하기 때문에 2byte의 데이터만 잡게 된다.
4. 만약 CHAR(20)과 VARCHAR(20)에 각각 24byte의 데이터를 넣으면 4byte의 값은 잘리게 된다.
언뜻보면 VARCHAR에 장점만 큰 것 같지만
CHAR를 쓰는 이유는 고정되있는 크기이기 때문에 연산할 필요가 없어 VARCHAR보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사용하게 된다.
결론
따라서 고정되어있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CHAR를 쓰는 것이 효율적이고,
변할 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에는 VARCHAR를 쓰는 것이 메모리 관리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기타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story Css로 줄 간격 등 맞추기 (0) | 2023.11.03 |
---|---|
GitHub Readme 프로필 꾸미기 (0) | 2023.08.02 |
URL? URI? 차이점을 알아보자 (0) | 2022.09.14 |
Char와 String의 차이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