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취미 공부(5)
-
계획표
퇴사 후 기록 5월달 퇴사 후 : 혼자 호주 여행 6월 ~ 7월 중순 : 컴퓨터 활용능력 필기 만료 전 1급 실기 공부 7월 23, 24일 : 컴활 1급 실기 시험 7월 25일 :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 8월 11일 : 컴퓨터 활용 능력 1급 실기 결과 발표
2023.07.25 -
경기민감주
경기민감주에는 철강, 화학, 조선, 해운이 있다. 중공업계열이 많아서 굴뚝주라고도 한다. 반도체와 비슷하게 사이클 산업이기 때문에 경기가 안좋을 때(저per) 사서 경기 좋을 때(고per)에 팔아야한다.
2023.02.11 -
채권
채권의 수익률 예) 채권의 수익률 : 1억 + 10년 만기 + 5%액면가 500만원 + 500만원 + 500만원 ……. 500만원+1억 금리가 5%일 경우 1년차 500만원/0.05원 -> 2년차 500만원/(0.05)^2원…. 금리가 10%로 올랐을 경우 1년차 500만원/0.1원 -> 2년차 500만원/(0.1)^2원…. 금리가 오른다 -> 채권의 가치가 떨어진다. -> 채권이 싸진다. 금리가 내린다 -> 채권의 가치가 오른다. -> 채권이 비싸진다. 금리를 올린다 -> 돈을 쪼아서 모은다 -> 인플레이션 잡힘 경기침체 -> 기준 금리를 내린다.-> 채권의 가치가 오른다. ============================================ 장기채와 단기채의 차이 위 예시를 들어 10년채와..
2023.02.11 -
헷지
헷지란? 박스권에서 주식과 반대 인버스를 동시에 잡아 리스크 관리를 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지수가 고점에서 떨어질 때 코스닥 숏 인버스를 잡으면서 주식을 팔고 지수가 저점에서 올라갈 때 코스닥 롱 인버스를 잡으면서 좋은 주식을 찾는 것을 말한다. 박스권일 때 리스크 관리는 이런 식으로 하고 하락장일때는 인버스로 환헷지를 한다. 상승장일 경우는 성장주를 찾아 장기투자를 하면 수익이 크게 난다. 숏 : Soxs, SQQQ, 코스피 숏 인버스 롱 : Soxl, TQQQ, 코스닥 레버리지 150
2023.02.02 -
지표 지수 : 볼린져 밴드와 ADR
볼린져 밴드 aka.가격평균선 볼린져 밴드(20, 2)의 의미 : 20일간 2시그마(표준편차) 표준평균분포(z점수) 1시그마 = 65% 2시그마 = 95.5% 3시그마 = 99.7% 표준편차의 가운데(평균값) 볼록한 부분을 기준으로 2시그마 = 상위 5%를 의미한다. 볼렌져밴드(20, 2) 상단 빨간 선(상위 5%의 가격) 중간 분홍색 선(중간 평균값(50%)) 하단 파란 선(하위 5%의 가격) 박스권일 경우 중간 값으로 회귀하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볼린져밴드 상단에 닿으면 저항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고점 신호로 참고할 수 있음. 이럴 경우 주식의 비중을 줄이고 인버스의 비중을 더 크게 잡는다. 반대로 하단에 지수가 닿으면 주식의 비중을 늘리고 인버스의 비중을 줄인다. ADR = 20일 동안..
202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