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269번 : 대칭 차집합
2023. 10. 13. 20:11ㆍ[알고리즘]/문제 풀이
문제
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있다. 이때, 두 집합의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 (A-B)와 (B-A)의 합집합을 A와 B의 대칭 차집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A = { 1, 2, 4 } 이고, B = { 2, 3, 4, 5, 6 } 라고 할 때, A-B = { 1 } 이고, B-A = { 3, 5, 6 } 이므로,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 + 3 = 4개이다.
입력
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200,000을 넘지 않으며, 모든 원소의 값은 100,000,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3 5
1 2 4
2 3 4 5 6
예제 출력 1 복사
4
풀이
size_A, size_B = map(int, input().split())
A = set(map(int, input().split()))
B = set(map(int, input().split()))
difference = set()
for a in A:
if a not in B:
difference.add(a)
for b in B:
if b not in A:
difference.add(b)
result = len(difference)
print(result)
반응형
'[알고리즘]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101번 : 삼각형 외우기 (0) | 2023.10.16 |
---|---|
백준 11478번 : 서로 다른 부분 문자열의 개수 (0) | 2023.10.13 |
백준 1427번 : 소트 인사이드 (0) | 2023.10.13 |
백준 27323번 : 직사각형 (1) | 2023.10.13 |
백준 1085번 : 직사각형에서 탈출 (0) | 202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