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배열 리스트(Array List)

2022. 3. 13. 00:25[Android APP] feat. Kotlin/Kotlin 언어 기초

Array List란?

 

1. 내부가 배열로 되어있는 리스트로 컬렉션의 일종이다.

2. 동적 배열을 생성하기 때문에 특정 크기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3. 동기화되지 않아 중복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같은 값을 입력하는 것이 제한되지 않는다.

4. List이지만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는 Array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특정 원소의 Index값을 이용해 접근할 수 있다.

 

 

배열 리스트의 생성자

 

기본 생성자

ArrayList<E>()

용량을 정할 수 있는 생성자

(요소의 최대값을 정할 수 있다.)

ArrayList(capacity:Int)

컬렉션 기반 배열 리스트

(컬렉션 요소로 채우고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ArrayList(elements:Collection<E>)

 

배열 리스트의 함수

 

add함수

open fun clear()

clear함수

open fun add(element:E):Boolean

get함수 - 특정 인덱스 값의 정보를 돌려준다.

open fun get(index:Int):E

remove함수

open fun remove(element: E):Boolean

이 외에도 여러 함수가 존재하지만 위 네가지 함수가 가장 중요하다.

 

============================================================================

ArrayList를 사용해보도록 합시다.

 

ArrayList를 생성한 뒤 아이템을 추가해줍니다.

for문으로 arraylist에 추가한 아이템을 출력해줍니다.

 

 

5개로 값을 제한한 arrayList와 String타입의 MutableList를 생성해준다.

MutableList에 값을 추가한다.

이터레이터는 배열 리스트가 다른 입력값을 가지고 있는 한, while루프를 실행한다.

 

 

 

get함수를 사용해보자.

먼저 ArrayList를 생성 후 값을 추가해준다.

get함수의 인자는 인덱스 값으로 0부터 들어간다.

따라서 One이 아니라 Two가 출력되게 된다.

반응형

'[Android APP] feat. Kotlin > Kotlin 언어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중첩, 내부 클래스  (0) 2022.03.13
26. 접근 제한자  (0) 2022.03.13
24. 집합과 맵(Set & Map)  (0) 2022.03.10
23. 리스트  (0) 2022.03.09
22. 배열  (0) 202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