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람다 표현식
2022. 3. 13. 14:57ㆍ[Android APP] feat. Kotlin/Kotlin 언어 기초
람다 표현식이란?
1. 이름이 없는 함수를 뜻하지만 이름이 없는 익명 함수와는 다르다.
2. 고급 기능을 가진 코드를 간결하고 짧게 정리해준다.
3. 람다 표현식과 익명 함수는 "function literals"이다. 예를 들어 선언되지 않고 곧바로 표현식으로 전달된 함수이다.
4. 람다는 중괄호({})로 정의되고, 매개변수와 함수 바디로 변수를 받는다.
5. 함수 바디는 변수 뒤에 화살표와 연산자와 함께 쓰인다. (follow by -> 연산자)
문법은 변수, 람다 표현식, 람다 바디 등 모든 것은 중괄호로 둘러 싼다.
{varuable(s) -> body_of_lambda}
아래 코드를 람다식으로 줄여보자.
sum이라는 람다 표현식을 만들어 코드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반응형
'[Android APP] feat. Kotlin > Kotlin 언어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 작업 스케쥴링 (0) | 2023.03.12 |
---|---|
29. 예외처리 ( try-catch, finally) (0) | 2022.03.13 |
28. Safe Cast, Unsafe Cast 연산자 (0) | 2022.03.13 |
27. 중첩, 내부 클래스 (0) | 2022.03.13 |
26. 접근 제한자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