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문제 풀이(69)
-
백준 24264번 :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3
문제 오늘도 서준이는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입력의 크기 n이 주어지면 MenOfPassion 알고리즘 수행 시간을 예제 출력과 같은 방식으로 출력해보자. MenOfPassion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MenOfPassion(A[], n) { sum
2023.10.26 -
백준 24263번 : 알고리즘 수업 -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2
문제 오늘도 서준이는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입력의 크기 n이 주어지면 MenOfPassion 알고리즘 수행 시간을 예제 출력과 같은 방식으로 출력해보자. MenOfPassion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MenOfPassion(A[], n) { sum
2023.10.26 -
백준 24262번 : 알고리즘 수업 -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1 (시간복잡도)
문제 오늘도 서준이는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입력의 크기 n이 주어지면 MenOfPassion 알고리즘 수행 시간을 예제 출력과 같은 방식으로 출력해보자. MenOfPassion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MenOfPassion(A[], n) { i = ⌊n / 2⌋; return A[i]; # 코드1 } 입력 첫째 줄에 입력의 크기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코드1 의 수행 횟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 코드1의 수행 횟수를 다항식으로 나타내었을 때, 최고차항의 차수를 출력한다. 단, 다항식으로 나타낼 수 없거나 최고차항의 차수가 3보다 크면 4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
2023.10.26 -
백준 10816번 : 숫자카드 2
문제 숫자 카드는 정수 하나가 적혀져 있는 카드이다. 상근이는 숫자 카드 N개를 가지고 있다. 정수 M개가 주어졌을 때, 이 수가 적혀있는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셋째 줄에는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이 수도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
2023.10.24 -
백준 번 : 녹색거탑
문제 Naver D2를 아시나요? D2는 For Developers, By Developers의 약자로, 개발자들을 위해 개발자들이 직접 만들어 가고 있는 네이버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네이버가 축적한 기술과 지식을 공유하고, 외부 개발자들을 지원해 대한민국 개발자 역량 강화를 이끌고, 이를 통해 업계 전체와 네이버가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자 합니다. 사실 네이버의 개발자 지원은 오랜 기간 꾸준히 이어져 왔습니다. 개발자 컨퍼런스 DEVIEW를 비롯, 오픈 소스와 개발 도구 공개, 학회 및 커뮤니티 지원 등 여러 지원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이런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 바로 Naver D2입니다. 2022년 봄 어느 날. 전 세계에 코딩괴물이 나타났다. 그리고 코딩괴물과 ..
2023.10.24 -
백준 11050번 : 이항 계수1
문제 자연수 N과 정수 K가 주어졌을 때 이항 계수 (N K)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주어진다. (1 ≤ N ≤ 10, 0 ≤ K ≤ N) 출력 (N K)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5 2 예제 출력 1 복사 10 풀이 이항 계수는 조합론(Combinatorics)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n개의 원소 중에서 k개의 원소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나타낸다. 이항 계수는 보통 "n choose k" 또는 "C(n, k)"로 표기된다. 이항 계수는 아래 공식으로 계산된다. C(n, k) = n! / (k! * (n-k)!) def facto(n): if n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