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 배열 자르기
2024. 3. 12. 11:24ㆍ[알고리즘]/문제 풀이
문제 설명
정수 n, left, right가 주어집니다. 다음 과정을 거쳐서 1차원 배열을 만들고자 합니다.
- n행 n열 크기의 비어있는 2차원 배열을 만듭니다.
- i = 1, 2, 3, ..., n에 대해서, 다음 과정을 반복합니다.
- 1행 1열부터 i행 i열까지의 영역 내의 모든 빈 칸을 숫자 i로 채웁니다.
- 1행, 2행, ..., n행을 잘라내어 모두 이어붙인 새로운 1차원 배열을 만듭니다.
- 새로운 1차원 배열을 arr이라 할 때, arr[left], arr[left+1], ..., arr[right]만 남기고 나머지는 지웁니다.
정수 n, left,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주어진 과정대로 만들어진 1차원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다음 애니메이션은 주어진 과정대로 1차원 배열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애니메이션은 주어진 과정대로 1차원 배열을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1. 틀린 코드
def solution(n, left, right):
answer = []
matrix = [[0 for col in range(n)] for row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matrix[i][j] == 0:
matrix[i][j] = max(i, j) + 1
for i in range(left, right+1):
row = i // n
col = i % n
answer.append(matrix[row][col])
return answer
- 크기가 정해진 2차원 배열에 0 값을 넣고 n의 이중 for문을 이용해서 넣어주고 자르는 방식을 사용했다.
- 시간초과가 떴다.
2. 정답 코드
def solution(n, left, right):
answer = []
for i in range(left,right+1):
answer.append(max(i//n,i%n)+1)
return answer
- left ~ right까지의 수만 구한다.
- i = 현재 위치
- 인덱스를 통해 좌표를 구하고 좌표 중 큰 값 + 1을 해주면 된다.
큰 값에 + 1 해주는 이유 : 좌표가 0, 0 일 때 1이 들어가고, 0, 1일 때 2가 들어가야 한다.
즉 좌표 값 중 큰 수 + 1을 해준 값이 들어가야 맞는 것
반응형
'[알고리즘]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1차] 비밀지도 (0) | 2024.02.13 |
---|---|
백준 1904번 : 01타일 (0) | 2024.02.01 |
백준 1931번 : 회의실 배정 (1) | 2024.01.22 |
백준 17103번 : 골드바흐 파티션 (0) | 2023.11.08 |
백준 2108번 : 통계학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