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APP] feat. Kotlin(71)
-
10. 코틀린의 Nullable
Nullable에 대해서 Nullable은 Tony Hoare가 만들었고 1965년 ALGOL W언어의 한 부분으로 null참조를 제작했다.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으로 확인되는 안전한 참조 사용법을 만들 때 적용이 쉬운 null참조 추가를 할 수밖에 없었고 많은 오류, 약점, 시스템 충돌을 나타냈다. 현재는 많은 장점을 가진 null참조가 있는데 그 중 코틀린 단어인 Nullable에 대해 공부해보겠다. Nullable은 변수가 null을 값으로 가질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0이 아니라 null이다.) 코틀린은 변수가 null을 값으로 가질 수 있을지 아닐지 선언할 능력을 타입 시스템으로 지원해준다. 그리하여 컴파일러가 컴파일링에서 발생한 널 포인터 제외 오류를 찾아낼 수 있다. 즉 실행되기 전에 널 ..
2022.03.06 -
9. 함수 - 매개변수 , 인수의 반환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1. 코드의 재사용이 용이하다. 2. 다른 사람과 같이 작업할 수 있다. 3. 모듈화되어 코드를 가독성이 좋아진다. ======================================================================== 함수의 기본 구조 fun 함수이름(매개 변수){ 실행 코드 } ============================================================================ 예시를 들어보자 my Function이라는 문장을 출력해주는 간단한 myFunction함수를 만들어보자 함수 이름은 myFunction 매개 변수는 없고 실행 코드는 print문이다. fun myFunction(){ print("my Funct..
2022.03.05 -
8. 반복문(while ,Do While , for)
1. while문 While(조건식){ 실행 코드 } //조건식이 1일 경우 무한 반복 while문을 끝내기 위해서는 조건을 끝낼 수 있는 조건을 걸어줘야 한다. 아래와 같이 증감 연산자를 통해서 더해주나 빼주어서 x 값이 조건식인 10이 넘어가게 되면 while문은 종료된다. ============================================================================ 2. Do While 문 while문과 비슷하다. 하지만 차이점은 무조건 한번은 실행하는 Do 표현식이 있다. do{ 실행 코드 }while(조건식) x의 값이 15라서 while문의 조건과 맞지 않아도 do 안에 있는 실행 코드를 한번 실행시킨다. =========================..
2022.03.04 -
7. when 표현식
when(조건 변수){ 조건 식 1-> 실행 코드1 조건 식 2-> 실행 코드2 조건 식 3 -> { 실행코드 3 실행코드 3-1 } . . . else -> 실행코드 n when은 조건 변수가 조건 식과 일치하는 경우 실행코드를 실행시켜준다. 만약 조건 식을 일정한 값이 아닌 범위로 넣고 싶다면 in a..b 이런 식으로 넣어주면 된다. when은 조건식을 정해놓고 그 중 맞는 조건식을 찾아주는 표현식이다. 위 코드처럼 season은 3이라는 값을 가지고 있고, 그 밑에 season 값이 각각 1일 때는 Spring 2일 때는 Summer 3일 때는 Fall, Autumn 4일 때는 Winter 나머지는 Invalid Season으로 조건을 걸어준다. 그 밑 month도 마찬가지이다. in a..b을 ..
2022.03.04 -
6. if문
if는 조건문으로써 if문의 조건이 참일 경우 코드를 실행한다. if문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1. if(조건) 2. else if(조건) 3. else 이다. if(조건 1){ 실행 코드 1 } else if(조건 2){ 실행코드 2 } else{} 조건1이 참이면 안에 있는 실행 코드 1을 실행시켜준다. 거짓이면 빠져나온다. 다음 조건식2 에서 참이면 실행코드 2를 실행시키고 아니면 빠져나온다. else는 위 조건문에서 맞지 않는 모든 조건들을 말한다. ============================================================================ if문 안에 조건식의 결과 값은 참 또는 거짓, 즉 boolean 타입이다. 위 코드를 살펴보면 #1 name 변수..
2022.03.04 -
5. 비교, 증감 연산자
비교 연산자 // 비교 연산자(==, !=, , =) a == b a와 b가 같으면 참 a != b a와 b가 같지 않으면 참. a ba가 b보다 크면 참 a = b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 증감 연산자 // 대입 연산자(+=, -=, *=, /=, %=) // 증감 연산자(++, --) var myNum = 31 myNum++ println("myNum is $myNum") ++ 또는 --를 변수 앞에다 쓰면(++num, --num) 변수를 표시하기 전에 증감을 하라는 표시. 변수 뒤에다 쓰면(num++, num--) 변수를 출력하고 증감을 하라는 표시이다.
2022.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