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APP] feat. Kotlin(71)
-
4. [Kotlin] 산술 연산자와 유형의 중요성
var result = 5+3 print(result) 산술 연산자는 흔히 말하는 사칙연산 (+, -, *, /, %)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코틀린에서의 사칙연산은 어떻게 실행될까? 위 코드의 result 값의 출력을 보면 5+3인 8이 출력된다. result /= 2 // result = result / 2 = 8 / 2 = 4 result *= 2// result = result * 2 = 8 * 2 = 16 result += 2 // result = result + 2 = 8 + 2 = 10 result -= 2 // result = result - 2 = 8 - 2 = 6 자, 코틀린에서 result값에 무언가를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거나 나누고 싶다면 위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그렇다면 "%"은 ..
2022.03.04 -
3. bool, char, string 데이터 유형과 문자열 인터폴레이션
bool형부터 알아보자 bool은 0 또는 1, 참 또는 거짓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이다. var에 true 값을 그냥 넣어줘도 boolean형으로 자동 인식해준다. Char형 Char형은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자료형으로써 각 문자 문자를 나타내주기 때문에 여러 개의 문자가 들어간 문자열은 들어가지 못한다. String형 String형은 여러개의 문자를 포함한 문자열이 들어갈 수 있는 자료형으로써 Char가 여러개 모여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 아래 코드를 보자. 정말 유용한 기능이다. 문자열 인터폴레이션 또는 문자열 템플릿이라고 하는 이 개념은 기존에 문자열을 이어줄..
2022.03.04 -
2. [Kotlin] 숫자 데이터 유형
Kotlin에서 숫자 데이터 타입에는 정수형, 실수형으로 나눌 수 있다. ==================================================================== 정수형 타입 Byte : 8bit Short : 16bit Int : 32bit Long : 64bit 이 있다 myAge에 31이라는 값을 입력하면 int형이라고 정의된다. 그냥 var 변수에 int타입의 변수 값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이 변수가 무슨 형인지 알아내준다. 이것을 타입 추론이라고 한다. ==================================================================== 실수형 타입 Float : 32bit Double : 64bit 가 있다. 코틀린에서는 실..
2022.03.03 -
[Kotlin] 주석 처리 방법
Kotlin의 주석처리 방법 // 한줄 주석 /* */ 사이에 있는 문장 주석 //TODO : 값을 넣어주거나 해야할 일을 컴파일 때 알려줌
2022.02.27 -
1. [Kotlin] val, var의 차이
val, var는 앱 실행시간 동안 정보 저장 방법에 가장 기본인 코드이다. 예시로 들어보겠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울 때 가장 기초인 "Hello world" print문으로 그냥 찍으면 그대로 나온다. var형태의 myName 변수에 이름을 저장해서 출력한다면? 앱 실행 중 정보를 var 변수에 저장하므로 myName에는 kwon이라는 값이 들어간다. var형태의 변수 값을 재정의 할 수도 있다. 자. 여기서 var과 val의 차이점은 var변수는 중복 기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위 코드를 val 변수로 바꿔서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왜일까? val는 새로운 값을 변수에 넣을 수 없다. 즉, 중복으로 값을 넣을 수 없다. 그럼 val은 왜 써요? val는 var보다 프로세싱 파워로 따지면 더 효율..
2022.02.27 -
코틀린 기초 지식 익히기
개요 첫 프로젝트를 허겁지겁 진행하면서 공부하다보니 블로그에 하나도 업로드하지 못했고 놓치는 부분이나 모르는 부분을 차근차근 제대로 공부해야할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코틀린에 대한 지식들을 배워보고 기록해보려고 한다. 코틀린(Kotlin)이란? 2016년에 정식 발표된 안드로이드 개발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2017년 구글 컨퍼런스에서 코틀린은 안드로이드 공식 지원 언어로 채택되었다. 2019년에는 안드로이드 개발을 위한 메인 언어로 코틀린을 지정했다. 코틀린은 자바를 보완하고 대체하기 위한 언어인만큼 기존에 자바로 동작하던 환경에서 코틀린도 100% 호환된다고 한다. Kotlin의 장점 1. 문법이 간결하며 사용성이 좋다. 이 내용은 직접 언어를 쓰면서 느꼈다. 기존 자바보다 훨씬 간결..
2022.02.27